
1. 경기도 청년기본소득

• 대상: 만 24세(2000년생 기준, 2025년 기준) 경기도 3년 연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자 (단, 성남·고양 제외) (dreamscometure.tistory.com)
• 금액: 분기별 25만 원, 연 100만 원 → 2025년부터는 1회 신청 시 100만 원 일시금 지급으로 변경 (blog.naver.com)
• 지급 방식: 지역화폐 (모바일 또는 카드형)
• 신청 방법:

• 경기도 일자리재단 '잡아바' 또는 경기도 청년포털
• 주민등록초본(거주기간 확인),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제출 시 기초수급자 일시급 가능 (dreamscometure.tistory.com)
• 일정:
• 신청 마감: 3월 31일
• 기초수급자 일시금 지급일: ~4월 20일(heycoco1.tistory.com, silviahelp.tistory.com)
2.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

• 대상: 만 19~39세 경기도 거주 청년, 중소기업·소상공인·비영리법인 재직자 (소득 기준 있음) (white714.tistory.com)
• 금액: 연간 일정 금액 포인트 제공 (2025년 1차 모집 기준 1만 명)
• 신청 기간: 6월 1일 ~ 6월 12일
• 지급 방식: 지역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
• 신청 방법: 청년노동자 지원사업 홈페이지 via 잡아바 (white714.tistory.com)

3. 초기창업패키지 (청년·초기창업자 대상)
• 대상: 창업 3년 이내, 경기도 거주 또는 창업 예정, 만 39세 이하 청년 우대 (made-wb.tistory.com)
• 지원 내용: 최대 1억 원 사업화 자금 + 사무공간·멘토링·판로 지원 (made-wb.tistory.com)
• 신청 방법: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(성남), 지방중기청(수원), 지식정보진흥원(고양), 창업지원센터(용인) 등
• 운영 지역: 성남·수원·고양·용인 외 각 시군별로 상이 (made-wb.tistory.com)
4. 육아·노인·다자녀가정 맞춤형 지원

• 육아지원금:
• 만 7세 이하 아동 1인당 월 10만 원 (둘째 이상은 월 15만 원)
•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 · 경기도 1년 거주 (it1008-4.tistory.com)
• 노인건강지원금:
•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대상, 분기별 10만 원, 연 40만 원

• 바우처 형식 건강기능비 구입 가능 (it1008-4.tistory.com)
• 다자녀·기초수급자 지원:
• 기초수급자 대상 친환경 보일러 등 최대 60만 원 지원
• 청년기본소득, 민생회복지원금 등 중복 수혜 가능 (naemaum.tistory.com, heycoco1.tistory.com)
📌 시군별 특화 프로그램

• 출산지원 (수원·성남·화성 비교) (naemaum.tistory.com)
• 수원: 첫째 30만, 둘째 50만, 셋째 이상 100만 + 산후조리·택시 바우처
• 성남: 첫째 20만, 둘째 60만, 셋째 이상 120만 + 육아 키트·조리원 환급
• 화성: 첫째 50만·둘째 100만·셋째 이상 200만 + 연 100만 양육비 + 산후도우미 지원

• 재난·민생회복지원금
• 포천 오폭 피해 주민 대상 재난기본소득(50만) + 경기도 일상회복지원금(100만) 접수(4.14.15) (naemaum.tistory.com, hankyung.com)
• 전남·강원 일부 지역 민생회복지원금 20~30만 원 지급(고흥·완도·정선 등) (silviahelp.tistory.com)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계약서 다운로드 방법 (1) | 2025.07.09 |
---|---|
(전남)여름방학 동안 갈만한곳 10군데 (0) | 2025.07.08 |
고양이 사료추천 및 사료급여량 (8) | 2025.06.19 |
티스토리 블로그, 구글에 노출시키는 확실한 방법! (2025년 최신 가이드) (5) | 2025.06.18 |
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전문 디자인 도구 추천 & 다운로드 가이드 (3) | 2025.06.16 |